The hand of god.(신의 손 )영화. 파울로 소렌티노감독 작품. 파울로의 자서전 느낌의 스토리. 또 한 사람의 인생이야기다.인간은 어떤 행위도 할 수 있는 무시무시한 동물이라는거 새삼 깨닫는다. 우리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들이 매일 일어나고 ,영화로 만나는 수많은 사람들의 삶의 모습은 옛날 할머니,할아버지의 이야기처럼 봐도 봐도 물리지 않아서 너무 좋다. 즐겨본 영화 2024.10.02
영화,음유시인 축제 스토리도, 베경도,음악도 정말 좋았다.나이에 따라 작품에 대한 느낌이 참 많이 다르다는걸 새삼 느낀다.아들의 나이를 겪어 봤으며, 죽음을 앞둔 아버지 와 거의 유사한 연령이라 더욱 그런거같다. 우리는 그가 누구든 상대의 인생에 대해 평가할때 매우 신중하고 조심스러워야 한다. 누구도 다른 사람의 생과 같을 수 없기에 그건 매우 건방진 행위라는 결론에 다다랐다.튀르키에에 꼭 가보고 싶어졌다 즐겨본 영화 2024.09.29
영화 '스펜서' 만나다 '다이아나비의 어린 시절은 대체로 불행했다. 다이애나의 부모는 후계자가 될 아들 출산, 성격 차이 등으로 인해 그녀가 태어났을 때부터 이미 사이가 좋지 않았으며, 매일같이 큰 소리로 다투었고 어머니 프랜시스는 자주 울었다고 한다. 이외에도 유모가 지나치게 자주 바뀌는 등 모든 것이 불안정했다. 심지어 어머니의 외도로 아버지가 어머니의 뺨을 때려서 울리는 것을 문 뒤에 숨어서 지켜볼 때도 있었다. 결국 다이애나가 6살이 되던 1967년에 다른 남자와 집을 나가버린 프랜시스로 인해 두 사람의 별거가 시작되었고, 처음에는 어머니와 함께 런던에서 지냈으나 양육권 문제로 인해 다시 노퍽으로 돌아갔다.' - 인터넷에서 가져온 글 - 영화가 끝난후,다이애너의 어린 시절이 궁금해서 찾아보니 역시 짐작이 거의 맞는거 같.. 즐겨본 영화 2024.09.25
영화,페르시아어 공부 히틀러의 나치 관련 영화의 아이디어는 끝이 보이지 않는다.그렇게도 셀 수 없이 봤음에도 끝까지 몰입되어 봤다.주인공의 생존에 안도하며 감사함을 느낄 정도면 말다했지.기발한 이야기를 만든 제작자에 감탄하고, 모성을 자극하는 남자 주연배우의 애처러운 눈빛에 내 감성은 살아났다. 수작이다.수용인들의 명단 기록 장면 즐겨본 영화 2024.09.24
영화, 줄무늬 파자마를 입은 소년 그 토록 잔인한 내용인 줄 몰랐다. 노인의 장례식을 치르며 그리스도를 찾고 천국으로 가기를 원하는 인간들이 자신들의 성향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그런 짓을 하다니..죄 없는 어린 죽음을 애도 하기도 차마 그랬다.인간 보다 잔인한 동물은 없을꺼 같다 카테고리 없음 2024.09.22
영화,바빌론. 삶이 얼마나 외롭고 괴로운 지를 보여주는 듯한.스토리.누군가가 ,말했다지. 인간이 왜 자살하지 않는지 미스테리라고...그만큼 삶의 고통이 너무나 극심한 나머지 잠시라도 잊으려는 몸부림이라 본다. 3시간이 지루하지 않았다. 강한 사람은 버티어 내고 ,섬약한 사람은 궤도 이탈 하는게,인생이다.늙은이가 본 느낌.환경에서 오는 열등감과 자격지심, 독한 심성이 못되면 도태된다첫눈에 반한 그녀를 구하려 최선을 다했지만 구할 수 없었고,그의 슬픔에 공감되어 함께 울었다.애절한 사랑이었다 카테고리 없음 2024.09.09
영화 언티처블:1%의 우정 두번째의 만남이지만 만족감은 엄청났다.요즘 처럼 치열하고 살벌한 세상살이에 휠링 용으로 딱이다., 이 작품을 만든 분은 정말로 마음이 따뜻하고. 온화한 분이 아닐까.대비되는 두 주인공의 설정 역시 매우 기발하고 재치있었다. 해피엔딩이 기분 좋아 함박 웃음 웃었다. 즐겨본 영화 2024.09.06
영화"이제 그만 끝내고 싶어' 보다 보다 별 희한한 영화를 다 봤다.영화를 서로 주천하는 동생이 이 글을 올려서 영화정보 교환 그만 두자는 줄 알았다. 바로 다음 장면 조차 예상 할 수 없는 스토리 전개,갑갑하지만 중간에 도저히 중단 할 수 없게 만든 기이한 이야기. 아무튼 세상에는 별 인간이 별짓을 다 하는 곳이니 그러려니 한다.영화가 별건가 사람사는 이야기일 뿐이다 즐겨본 영화 2024.09.05
다시본 영화 '쎄븐' 존재감 별로 없는 새 영화보다 훨씬 좋았다. 20년전에 이 정도의 수준을 보여주는 분이라면 정말 대단한 퀄리티의 소유자임에 틀림없지 싶다. '데이빗 핀처'감독과 대조적인 두 주인공을 연기한 모건 프리먼과 브래드 피트의 똑소리나는 연기도 훌륭했지만,케빈 스페이시도 잘했다. 끝까지 긴장감을 놓칠 수 없었는데, 이런류의 영화를 선호하는 편이다. 즐겨본 영화 2024.09.01
보헤미안 렙소디를 또 보고.. 역시 나이 더 들어서 보니 느낌이 좀다르게 다가왔는데,양성애자인 주인공 처지가 참 안타까웠다.천부적으로 뛰어난 예술적 소양을 소유한 한 청년의 생애가 망가지게 된건 누구의 잘못인지 앞으로 연구해야 할 과제인거 같다. 지금도 어딘가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이런 고통속에 살고 있지 않을까 카테고리 없음 2024.08.29